1999년 4월 20일

미국 콜로라도주 컬럼바인 고등학교서 총기 사고… 15명 사망, 20여명 부상

미국 콜로라도주 컬럼바인 고등학교서 총기 사고… 15명 사망, 20여명 부상
21일 미 콜로라도주 덴버의 시빅센터 공원에서 열린 총기 난사 희생자 촛불 추모제에 참석한 두 여학생이 슬픔에 잠겨있다.

20일 오전 11시 30분(현지 시각) 미국 콜로라도주 리틀턴시. 인구 3만5000명인 이 도시의 컬럼바인 고등학교에서 울린 총성과 폭발음이 조용한 봄날을 찢어놓았다. 발목까지 내려오는 검은 트렌치코트(레인코트의 일종) 차림에 스키 마스크를 뒤집어 쓴 괴한 2명이 학교 주차장에서부터 소총을 난사하며 학교 안으로 진입했다.

점심시간 구내 식당에 모여있던 학생들은 비명을 질렀고, 학교는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범인들은 교실과 도서관을 차례로 돌며 총을 쏘고 수류탄과 사제폭탄을 던졌다. 이 학교 학생 돈 아놀드(16)는 “처음에는 불꽃놀이 하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눈 앞에서 친구들이 피를 흘리며 쓰러지기 시작했다. 다른 학생은“범인들이 권총과 소총을 들고있었고, 개머리판을 잘라낸 산탄총도갖고 있었다”고 전했다. 겁에 질린 학생들은 쓰러진 친구들의 시체를 넘어 피바다가 된 학교를 필사적으로 빠져나왔다. 미처 피하지못한 학생들은 화장실, 음악실, 과학실험실 등에 숨었다. 교실 옷장안에도 숨었고 책상과 사물함으로 문앞에 바리케이드를 쌓기도 했다. 피투성이가 된 학생 한 명은 2층 창문밖에 매달려 있다 구조됐다. 몸에 폭탄 파편 조각이 9개나 박힌 여학생도 있었다.

범인은 10대 후반인 에릭 해리스와 딜런 클레볼드로, 이 학교 중퇴생인것으로 밝혀졌다. 공범으로 보이는 학생 한 명은 수류탄을 던지다 경찰의 사태 진압 후 체포됐다. 경찰은 이들이 일종의 ‘자살 작전’을 벌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범인들은 주로 학교에서 잘 나가던 운동선수나 흑인, 히스패닉계 등 소수민족 학생들을 표적 사살했다.

학생들은 범인들이 “운동하는 놈들다 일어서라. 모두 죽여버리겠다”, “난 검둥이가 싫다”고 소리쳤다고 전했다. “범인이 흑인 친구의 얼굴에 총을 쐈다”고 전한 한 여학생은 범인이 “작년에 괴롭힘 당한 일을 잊지 못해 복수하는 것이라며 킬킬댔다”고도 했다. 학생들은 또 범인들이 “전혀 서두르는 기색 없이 느긋했다”, “학생들의 뒷머리를 쐈다”, “책상 밑에 숨어있는 애들까지 사살했다” 고 전했다.

CNN은 특히 10여구의 시신이 발견된 도서관에서 ‘즉결처형’ 식 살인이 저질러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학교를 포위했던 경찰과 총격전을 벌였던 범인들의 무차별 총기난사는 6시간이 지나서야 진압됐다. 폭발물의 위험 때문에 SWAT팀(경찰기동대)은 섣불리 교내로 진입하지 못했다. 수색작전중 건물 내에서 시한폭탄이 터지기도 했다. 학교 안팎에서 발견된 폭발물은 12개로, 범인들은 승용차등에 폭발물을 넣어두었다.

경찰은 “학교가 지뢰밭 같았다”고 표현했다. 사망한 학생과 교사들은 모두15∼16명, 부상자는 20여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자살한 것으로 보이는 범인 2명의 시체는 도서관에서 발견됐다. 이들은 몸에도 폭발물을 두르고 있었다.

그 해, 오늘 무슨일이… 총56

  • 2015년 6·25 참전영웅 스피크먼, 영국 최고 무공훈장도 한국 기증
  • 2010년 미국 멕시코만 기름 유출 사고 발생
  • 2010년 MBC PD수첩, 검사 스폰서 의혹 보도
  • 2009년 ‘미네르바’ 무죄 석방
  • 2009년 이재창 교수, 국제통계기구 회장에 선출
  • 2005년 교황 베네딕토 16세 선출
  • 2004년 제108회 보스턴 마라톤대회서 케냐 남자부 1~4위-여자 1위 제패
  • 2004년 주민등록등본 등 민원서류 5종 인터넷으로 발급 시행
  • 2004년 이수종 서울대 교수, 독일 베셀상 수상
  • 2003년 영화 `살인의 추억` 개봉
  • 2003년 홍콩 2대 여(女)재벌, 바오융친 사망
  • 2003년 호주, 헤로인 밀반입하려던 북한 선박 나포조사
  • 2003년 미국 프로농구 NBA 선수 마이클 조던, 팬들에 작별인사 신문광고에 게재
  • 2001년 이탈리아 지휘자 주세페 시노폴리 연주 도중 사망
  • 1999년 충무공 이순신 장군 묘소에서 식칼과 쇠말뚝 발견
  • 1999년 한반도에서만 번식하는 `저어새` 이동 경로 첫 확인
  • 1998년 독일 적군파 해체 선언
  • 1997년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 망명
  • 1996년 제1차 북미 미사일 회담(베를린)
  • 1995년 유고 반체제인사 밀로반 질라스 사망
  • 1994년 을사조약 부당성 폭로한 `헐버트 수고` 공개
  • 1985년 지하철4호선(상계-삼선교) 개통
  • 1985년 마라톤선수 카를로스 로페스, 네덜란드 로테르담마라톤경기에서 2시간 7분11초로 세계신기록 수립
  • 1981년 국정자문회의 발족
  • 1981년 제1회 장애인의 날
  • 1980년 사상서 황산열차 전복
  • 1977년 광주 무당촌에서 무허가 건물 철가하던 구청직원 4명, 동네청년에 의해 피살
  • 1977년 광주 무당촌에서 무허가 건물 철가하던 구청직원 4명, 동네청년에 의해 피살
  • 1974년 일본-중국 민간항공협정 체결
  • 1973년 성년의 날 제정
  • 1969년 대전 중앙시장 화재
  • 1967년 스위스 여객기 니코시아공항서 추락(126명 사망)
  • 1967년 한국개발금융(KDFC) 발족
  • 1967년 그리스에서 무혈 쿠데타
  • 1965년 한국-베네수엘라, 국교 수립
  • 1964년 비타민연구의 권위자 빌헬름 스테프 사망
  • 1962년 한국-부르키나파소 국교 수립
  • 1962년 5.16기념 산업박람회 개막
  • 1952년 동양통신 창간
  • 1949년 초대 주한 미대사에 무초 취임
  • 1949년 제1회 세계평화옹호자대회 파리서 개최
  • 1938년 베를린올림픽 기록영화 `올림피아` 개봉
  • 1935년 조선산업박람회 경복궁에서 개막
  • 1928년 서울에 시내버스(경성부영 버스 10대)운행 개시
  • 1918년 브라운관 발명자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사망
  • 1909년 무선통신 개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브라운 사망
  • 1906년 치도국 설치를 위한 신작로 공사 착수
  • 1906년 소설가 강경애 출생 - 사회의식을 바탕으로 한 여성해방을 추구
  • 1902년 퀴리 부부 염화라듐 정제
  • 1899년 프랑스 유기화학자, 광물학자 프리델 사망
  • 1893년 스페인 화가 후안 미로 출생
  • 1889년 히틀러 출생
  • 1808년 프랑스 제2공화국 대통령(1850~52)이자 제2제정의 황제(1852~71) 나폴레옹3세 출생
  • 1759년 독일 작곡가 헨델 사망
  • 1745년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간적인 치료에 선구적인 역할을 한 프랑스의 의사 피넬 출생
  • 121년 로마제국 제16대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우스 출생
  • 검색어

     

     

    예) 20090101,200501,2005

    콘텐츠 이용 문의

    구매/결정
    기사, 인물, 사진, 저작권(02)724-5528

    이용문의
    지면(PDF)(02)724-5509
    인물정보(02)724-5506,5508,5510~12
    사진정보(02)724-5523
    Email(기사팀) gisa@chosun.com
     (인물팀) profile@chosun.com
    FAX(02)724-5576

    조선일보 독자서비스센터
    1577-8585